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
4월 2014년

BN Checklist 2014 Logo안내
온라인으로
PDF 다운로드

이전 버전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
6월 2013년

BN Checklist 2013 Logo안내
온라인으로
PDF 다운로드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
5월 2013년

BN Checklist 2013 Logo안내
온라인으로
PDF 다운로드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
8월 2009년

BN Checklist 2009 Logo안내
온라인으로
PDF 다운로드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
10월 2007년

BN Checklist 2007 Logo안내
온라인으로
PDF 다운로드

새와생명의터 2014 대한민국 조류목록 (제1판)
나일 무어스 & 안드레아스 김, 2014년 4월

새와생명의터 2014 대한민국 조류목록 온라인으로다운로드 PDF


‘새와 생명의 터 2014 대한민국 조류목록’ (제1판, 2014년 3월 게시)은 전문이 국∙영문으로 게시되며, Gill & Donsker의 제4.1판(2014년 3월 확인)과 Moores & Park (2009)를 기초로 하고 있다. 이 목록에는 2014년 3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기록으로 새와생명의터에서 심사숙고한 모든 조류종과 아종이 범주 별로 정리되어 있다. 이와는 별도로 완성도가 부족한DPRK의 조류 목록을 준비 중이다.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은 나일 무어스 박사를 주축으로 첫 버전이 발표된2007년에 이어 현재 사용하는 버전의 기초가 된 2009년판은 박종길님께서 광범위하게 부연적인 설명을 해주었다. 이후에 거듭 개정된 조류목록들은 안드레아스 김님의 자료 구성력과 여러 새와 생명의 터 회원 및 전문가들의 정보 제시와 검토를 통해서 발전되고 있다. 도와주신 모든 분들과 특히 2014년 조류목록 작성에 도움을 준 하정문님께도 감사의 뜻을 표한다.

‘새와생명의터 2014 대한민국 조류목록’은 새와생명의터2013 조류목록(Moores and Kim 2013)에서 100가지가 넘는 사항이 수정되었다. 많은 개정사항들이 Gill & Donsker (2014)가 게시한 분류학적 체계와 종 배열 순서를 따르며 그리고 국제조류연합(2014)에서 발표한 지구상 보전 현황들이지만, 대다수는 새로운 종의 발견이나 학술적 이해 향상에 따른 것들이다. 실제로 본 단체의 조류목록 개정판은 지속적으로 문헌 검토나 온라인 정보 검토, 전문가와의 토론 및 입수 가능한 증빙자료의 고찰을 기반하여 끊임없이 보완 중이다. 우리에게 알려지지 않거나 공표되지 않은 귀중한 정보들이 있을 것이다. 또한 개체수 밀도나 풍요도에 관한 연구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점과 국가 희귀종위원회의 부재를 감안할 때, 본 목록의 범주 구분이나 현황 결정에 관한 모든 책임은 주 저자에게 있음을 알리는 것이 중요하겠다. 더욱이 많은 나라에서와 마찬가지로 여기서 사용한 국명과 영명으로 표기된 조류명은 지속적으로 수정∙보완 중이다. 표기된 국명은 (사)한국조류학회의 2009년판 .한국조류목록을 따른 것이다. 새와생명의터 2014 대한민국 조류목록의 표기에서는 몇 종의 경우, 대체명을 썼거나 새로이 제시된 국명을 부여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해당 종의 특색을 강조하기 위함인데 국내는 물론이며 세계적 (앞으로 모든 조류종에 조류의 특색이 담긴 보다 적절한 국명 적용을 요구할)추세를 따른 것이다. 이렇게 채택된 조류명의 대다수는 물론 새와생명의터 회원 및 다른 전문가들의 조언 속에서 거듭 보완될 필요가 있다.

본 조류목록으로부터 새와생명의터 다른 웹 페이지로의 연결이나 배열 방식은 모두 안드레아스 김님께서 맡아 작업하셨다.

국문 사용 시에 추천하는 인용구는 다음과 같다:
Moores, N. & A. Kim. 2014. 새와생명의터 2014 대한민국의 조류목록. 접속일 [연∙월∙일]:

새와 생명의 터, 2014년 4월

참고문헌


새와생명의터 2014 대한민국 조류목록 보기

목록의 약호

제1군 (최근 기록과 증빙자료)
1980년 이후 동정할 수 있는 사진이나 녹음 또는 표본으로 국내에서 발견∙기록된 종과 아종.

제2군 (1980년 이후의 증빙자료 미비)
1980년 이전에 국내에서 발견∙증빙자료가 제시되었으나 이후에는 당시에 제출된 사진 및 표본에 준하는 증빙 자료가 갖춰지지 않은 종과 아종.

제3군 (증빙자료 미비)
다수의 관찰자 (숙련된 관찰자 최소 1인이 동행한 경우) 가 1회 혹은 해당 종에 숙련된 별도의 단독관찰자들이 각각 국내에서 관찰하였으나 식별할 사진이나 녹음자료가 없는 종과 아종.

제4군 (증빙자료 미비)
해당 종에 대하여 경험의 숙련도 여부를 떠나 단독관찰자 혹은 해당 종에 대한 경험이 없는 다수의 관찰자에 의해서 국내에서 한 차례만 관찰된 경우와 해당 종에 숙련된 관찰자들이 새소리를 들었지만 증빙할만한 사진이나 녹음자료가 없는 종.

제5군 (확정된 외래종)
예전에 국내에 유입되어 기록되고 현재는 국내에 널리 퍼진 종.

제6군 (기록 보류)
능숙한 관찰자들이 관찰하였으나- 불충분한 사진이나 녹음자료로 기록된 경우-로 국내 목록 포함 여부가 미결된 상태로 독자적인 검토가 더 필요한 종.

영명

아래의 예외나 부연 설명과 함께 Gill & Donster (2014)의 분류군을 택함:

  1. 새와 생명의 터가 “선호하는 영명” 에는 PA를 표기. 예) Gill & Donsker의 Japanese Woodpigeon은 새와 생명의 터가 선호하는 Black Woodpigeon를 표기함.

  2. 이전에 사용되었으나 새와 생명의 터 자료 중 더 이상 쓰지 않는 자료는 NA(미적용)으로 표기하고 괄호로 대신함. 예. (Kamchatka Gull).

  3. IOC의 공인된 분류군이 아니며 새와 생명의 터가 추가로 인정하는 종은 ● 로 표기함 ●예. Mongolian Gull Larus mongolicus, the Greater White-fronted Goose 의 아종인frontalis.

국명

대한민국에서의 첫 관찰자는 국명을 부여하고 그 국명을 공표할 책임이 있다. 국명이 미정인 경우는 조류목록에서 공란으로 두었음. 2가지 국명을 나열한 경우는 첫 발견자가 부여한 국명, 뒤에 새와 생명의 터가 선호하는 국명의 순서임.

지구보전 현황

약호는 세계자연보전연맹 (2013)과 국제조류보호연합 (2013) 기준에 근거함.

CR=위급종
EN=멸종위기종
VU=취약종
NT=준위협종
LC=관심대상종
NR=미공인: 국제조류연합의 Fact Sheet(2014)나 Gill & Donsker (2014)에서 공인되지 않은 분류군임.

현황 약호

정보가 부족한 경우 “DD”로 표기함.

국내 (대한민국 내) 현황

R=널리 서식
P=널리 통과하는 철새
S=주로 여름 철새
W=주로 겨울 철새

위 네가지 약호는 추정분포도를 표시하는 숫자와 병행함

1=연간 개체 수 100,000 이상
2=연간 개체 수10,000 - 99,999 사이
3=연간 개체 수1,000 - 9,999 사이
4=연간 개체 수100 - 999 사이
5 =연간 개체 수10 - 99 사이
V1=드물게 기록됨, 예. 총 관찰 수는10회가 넘지만 연 관찰 수는 10회 미만
V2=거의 관찰되지 않음, 예. 총 관찰 수 10회 미만

조합된 약호는 연중 계절에 따른 다른 분포도를 표시하기 위함.
예) P2, W3, SV2 = 이동 개체 수가 10,000 - 99,999사이; 겨울 발견 1,000 - 9,999 개체; 여름 발견 횟수 10차례 미만인 종.

번식

0=번식하지 않음
1=국내 번식 기록이 확인됨
2=국내 번식이 추정됨
3=과거 국내 번식 기록이 있음 (1980년대 이후 추가 기록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