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호갈매기 Larus relictus
Nial Moores, 새와 생명의 터, 2005년 2월 6일
분포와 도래 개체수 적호갈매기 Larus relictus는 전세계적으로 희귀하며 그 생태에 대해서 잘 알려지지 않은 조류종이다.


적호갈매기 (번식깃 성조 , 사진제공 : 최 순 )

적호갈매기 Larus relictus


1st winter, Pohang © Kim Woo Soo

분포와 도래 개체수 적호갈매기 Larus relictus 는 전세계적으로 희귀하며 그 생태에 대해서 잘 알려지지 않은 조류종이다. 몽골의 카자흐스탄 지역 , 중국 , 러시아 남부 지역 등에서 번식을 하며 (Birdlife, 2003), 황해의 북부지역에서 주로 월동을 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Moores & Moores, 2002). 전세계 총 개체수는 2,500 에서 10, 000 개체로 추정되며 ,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Birdlife International, 2003). 그래서 Vulnerable( 취약종 ) 로 분류되어 있으며 , 번식지에서의 교란정도가 증가하고 황해의 조간대지역의 대규모 매립사업 때문에 종의 생존이 위협받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6~185 개체까지 월동한 기록이 있다. 혹한이 닥친 2001 년도 2 월에는 가장 많은 개체수인 143 개체가 관찰되었다. 12 월 말부터 3 월 사이에 혹한이 닥치는데 그때 상당히 많은 개체수가 남하하지만 , 강 하구의 바깥 지역에서 주로 서식하고 , 동정이 다소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조사에 어려움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lict Gull colony, Inner Mongolia, © Dr He Fen-qi

대부분의 멸종위기종들처럼 적호갈매기는 독특한 서식 조건이 필요한 조류이다. 여름철에 온화한 섬의 염수호 (saline lake) 에서 번식을 하고 , 겨울철에는 모래진흙갯벌에 주로 월동을 한다. 또는 강 하구의 바깥지역 또는 모래해안에 드물게 서식한다. 채식을 위해 완만한 경사가 진 조간대지역을 선호하며 모래섬 , 해빙 위에서 휴식을 하거나 물 위에 떠서 휴식을 하기도 한다. 독특한 채식행동은 먼 거리에서도 구별될 정도로 아주 특징적이다. 적호갈매기는 비둘기처럼 다소 빠르게 걸으며 , 작은 조개류를 먹으며 모래 갯벌 위를 발 뒤꿈치를 세워서 걷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다른 종과는 거의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Malling Olsen and Larsson (2003) 에 의해 중국의 동부해안에서 베트남까지 월동한다고 주장되고 있으나 이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충분한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적호갈매기의 최고 서식개체수는 황해의 북부지역에서 기록되었다. 가을에는 Hebei 해안 또는 Tianjin 시에서 관찰되었다. 2003 년 3 월에 1,645 개체의 적호갈매기가 Tianjin 시의 해안과 국립습지보호구역에서 서식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Liu Yang et al, 2003). 2004 년 1 월 3 일 에 3,362 개체의 적호갈매기가 황해의 북부지역 ( 발해만 ) 에서 Tianjin 시의 6km 조간대에서 관찰되었다 (Paul Holt in lit.). 이러한 분포를 고려해보면 , 황해의 북부지역의 기온이 급격히 떨어질 때 , 대한민국에서 적호갈매기의 큰 무리가 관찰되는 것은 크게 놀라운 일은 아닐 것이다.

동해안 지역과 낙동강 하구에 월동하는 적호갈매기는 러시아 해안 또는 Tumen delta, 북한의 동해안지역에서 남하하는 개체군이라고 추측된다.

동정 및 행동

적호갈매기는 동정하기에 상당히 쉬운 조류종이다. 채식행동과 외형 , 깃털색 , 부리와 다리의 색깔 등에서 독특한 차이가 있다. 적호갈매기는 한국에서 4 가지의 주요 연령대의 개체가 관찰이 되었다.


적호갈매기 (왼쪽 : 번식깃 성조 , 오른쪽 : 비번식깃 성조 , 사진제공 : 최순규)

Adult, moving from non-breeding into breeding
plumage, Song Do, Incheon, February 2003.
© Nial Moores/Birds Korea.


1st winter Relict Gulls, Song Do, January,
© Charlie Moores/Birds Korea,

1 년생 겨울깃은 온화한 겨울에 대부분의 개체들이 그러하며 , 2 년생 겨울깃과 성조는 번식깃이든 비번식깃이든 2 월 하순에 주로 관찰된다. 적호갈매기는 붉은부리갈매기 Larus ridibindus 와 갈매기 Larus canus kamtschatschensis의 중간 크기이다. 그러나 다소 목이 길고 비둘기의 가슴형태와 유사하며 다리길이가 짧으며 , 발이 작다. 1 년생 겨울깃은 갈매기와 아주 쉽게 구별되지 않을 때가 있다. 그러나 갈매기와 다르게 적호갈매기는 거의 머리가 하얗다. 등판은 선명하고 옅은 회색이다.

즉 , 일반적인 갈매기 Larus canus kamtschatschensis 보다 전체적으로 훨씬 희미한 회색이다. 접혀진 날개 덮깃은 갈색의 얼룩 무늬가 있으며 , 위꼬리덮깃은 가운데가 진하고 가장자리가 흰색이다. 특징적으로 다리와 부리는 검은 색을 띄며 , 눈테는 두껍고 , 종종 잠이 오는 듯한 눈의 형태를 나타내어서 원시적인 새라는 느낌을 준다.

2 년생 겨울깃은 머리와 목의 문양은 줄어들고 가벼운 작은 회색 얼룩점이 위꼬리덮깃에는 희미한 검은 문양이 나타난다. 첫째 날개깃의 명확한 하얀 반점이 거의 없다.

겨울철 성조는 붉은부리갈매기와 유사하게 보인다. 머리는 전체적으로 하얗고 , 목에는 다양한 회색점이 있다. 다리도 검고 붉으며 , 부리도 검고 붉은 빛을 띈다. 그러나 외형과 첫째 날개깃의 패턴은 독특하며 검은머리갈매기처럼 상당히 명확한 하얀 반점이 나타나고 갈매기처럼 넓고 검은 첫째 날개깃을 가지고 있다. 비행하는 적호갈매기는 독특한 특징이 있는데 등이 둥글게 굽어보이고 머리는 작아보인다.

월동하는 적호갈매기는 극한 날씨에도 상당히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0/2001 년 겨울에 급격히 기온이 하강하면서 송도 지역에 143 개체의 적호갈매기가 이례적으로 관찰되었다. 만조 때에는 해빙 위에서 휴식을 하고 다른 조류들과 함께 밀집된 무리에서 채식을 한다. 넓은 갯벌이 드러나고 다른 조류들이 흩어지기 시작하면 , 휴식처에서 부채꼴 모양으로 점차적으로 걸어나오면서 갑각류 및 기타 저서생물을 채식한다.


1st winter Relict Gull, Pohang. Photo © Kim Sung Hyun

 

적호갈매기관찰기록 (2000-2004) 1991년 1 월 , 65 개체 , 낙동강 하구 , 부산
http://www.rdb.or.id/view_html.php?class=123&op=larureli

2000년
2 월 2 일8 개체 순천만 , 전라남도 (닐 무어스 , 김경원)
2 월 10 일8 개체 (1 년생 겨울깃), 낙동강하구 , 부산 (닐 무어스)
2 월 18 일12 개체 순천만 , 전라남도 (11 개체 1 년생 겨울깃 , 1 개체 2 년생 겨울깃) (닐 무어스)
12 월 11 일약 5 개체 , 주문진 , 강원도 (존 킹 , 사진작가 : Malling Olsen and Larsson, 2003)

2001년
1 월 12 일25 개체 , 낙동강 하구 , 부산 (닐 무어스 , 김수경)
1 월 14 일14 개체 , 순천만 , 전라남도 (닐 무어스 , 김수경)
1 월 20 일2 개체 (1 년생 겨울깃), 보성만 , 전라남도 (닐 무어스 , 김수경)
1 월 하순1 개체 , 아산만 , 경기만 (닐 무어스 , 김수경)
2 월 3 일143 (83 개체 성조), 송도 , 인천 (닐 무어스 , 찰리무어스)
12 월 8 일2 개체 , 송도 , 인천 (닐 무어스 , 썬버드)
12 월 29 일3 개체 , 낙동강 하구 , 부산 (닐 무어스)

2002년
1 월 7 일1 개체 (2 년생 겨울깃), 낙동강 하구 , 부산 (닐 무어스 , 김수경)
1 월 10 일1 개체 , 순천만 , 전라남도 (닐 무어스 , 김수경)
1 월 19 일1 개체 (1 년생 겨울깃), 금강하구 , 전라남도 (닐 무어스 , 김수경)
1 월 29 일3 개체 , 송도 , 인천 (닐 무어스)
2 월 6 일1 개체 (1 년생 겨울깃): 1 개체 (2 년생 겨울깃), 송도 , 인천 (닐 무어스 , 찰리 무어스)
4 월 14 일1 개체 (번식깃 성조), 강릉 , 강원도 (최순규)
12 월 13 일2 개체 (1 년생 겨울깃), 포항 , 경상북도 (엔디 스토다트 , 썬버드)
12 월 25 일3 개체 (2 개체 성조 , 1 개체 1 년생 겨울깃), 낙동강하구 , 부산 (선 민스)
12 월 27 일8 개체 , 낙동강하구 , 부산 (닐 무어스(
12 월 31 일10 개체 , 낙동강하구 , 부산 (닐 무어스 , 팀 알리슨)

2003년
1 월 10 일3 개체 , 낙동강하구 , 부산 (닐 무어스)
2 월 12 일2 개체 , 낙동강하구 , 부산 (닐 무어스)
2 월 14 일14 개체 , 송도 , 인천 (13 개체 성조)(닐 무어스 , 밥 왈튼)
2 월 15 일14 개체 , 송도 , 인천 (10 개체 성조 , 1 개체 2 년생 겨울깃 , 2 개체 1 년생 겨울깃)(닐 무어스 , 밥 왈튼)
2 월 19 일10 개체 , 송도 , 인천 (닐 무어스 , 게리 , 말린 바빅)
3 월 17 일1 개체 (1 년생 겨울깃), 낙동강 하구 , 부산 (닐 무어스)
4 월 27 일1 개체 (1 년생 겨울깃), 금강하구 , 전라북도 (팀 알리슨)
11 월 23 일3 개체 , 송도 , 인천 (팀 에델슨)
12 월 28 일4 개체 , 낙동강 하구 , 부산 (닐 무어스 , 베리 헨리취)
12 월 28 일2 개체 , 송도 , 인천 (팀 알리슨)

2004년
1 월 9 일2 개체 , 낙동강하구 , 부산 (닐 무어스 , 팀 에델슨)
1 월 13 일3 개체 (1 개체 성조 , 2 개체 1 년생 겨울깃), 낙동강하구 , 부산 (닐 무어스 , 피터 , 델윈 콜린스)
2 월 8 일3 개체 송도 , 인천 (팀 에델슨)
2 월 24 일1 개체 (1 년생 겨울깃), 낙동강 하구 , 부산 (닐 무어스)
3 월 18 일1 개체 (1 년생 겨울깃), 낙동강 하구 , 부산 (닐 무어스)
3 월 28 일1 개체 (1 년생 겨울깃), 간월호 , 서산 , 충청남도 (닐 무어스 , 리안 , 카라 류완토위즈)
10 월 30 일1 개체 (1 년생 겨울깃), 동진만, 새만금 (닐 무어스, 피터 만)

2005년
1 월 10 일2 개체 , 낙동강 하구 , 부산 (올리버 니히스 , 베리트 울리취)
1 월 12 일1 개체 (1 년생 겨울깃), 포항 , 경상북도 (김성현)
1 월 22 일1 개체 (2 년생 겨울깃), 송도 , 인천 (닐 무어스)
1 월 23 일1 개체 (성조), 송도 , 인천 (닐 무어스 , 그러프 , 사라 돗 , 클리브 , 엘리너 헐리 , 킹스리 , 사론 파커)
1 월 25 일7-8 개체 , 송도 , 인천 (Mochizuki Kenji)


참고문헌

  • Birdlife International (2003). Red Data Book Threatened Birds of Asia. Online version (at: www.rdb.or.id).
  • Liu Y., Zhang Z-W, Zhang Y. & H-C Su. (2003). Record congregation of Relict Gull Larus relictus during the migration season. OBC Bulletin Number 38, December 2003.
  • Malling Olsen, K & H. Larsson (2003). Gulls of Europe, Asia and North America. Published by Helm.
  • Moores, N. & C. Moores (2002), Wetlands: Korea's most threatened habitat. Oriental Bird Club Bulletin 36, pp. 5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