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새만금 도요•물떼새 모니터링 프로그램 (SSMP) 2006년-2008년

 


 

새만금 자체는 현재 대한민국에서 진행 중인,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에 걸친 40,100헥타아르에 이르는 전 지역을 댐으로 막는 공사와, 수 많은 조류가 서식하는 광활한 갯벌지와 얕은 바다를 아직 그 최종용도가 분명하지 않은 거대한 담수 저수지와 토지로 변경하는 사업까지를 칭한다.

1991년에 시작되어 33km에 달하는 방조제는 2006년 4월 21일에 끝막음 공사를 했다. 황해 전역에서 동-아시아/오스트렐레이시안(남양주) 철새 이동 경로의 핵심지로, 중간 기착하는 도요·물떼새들에게 가장 중요한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대규모 사업이다.

 

새만금, 2006년 4월...

 

새만금, 2007년 4월 ...

 

새만금, 2008년 4월 ...

람사협약의 서명국인 대한민국은 람사 결의안 “대한민국 정부는 방조제 건축과 새만금 해안 습지의 매립, 이러한 습지에서 의존, 서식하는 국제적으로 중요한 이동성 물새류에게 최근 시행중인 공사가 미치는 영향에 관계된 최근의 상황을 사무총장에서 알린다” (람사 결의안 9.15.27.10)라는2005년 람사결의안 9조 15항의 권고 에도 불구하고 믿기 어렵지만, 이 막대한 공사로 인한 야생동물의 영향에 대하여 적절한 조사를 위해 확실히 공개된 프로그램은 없는 듯하다.

보다 더 놀라운 것은 농림부(MAF), 건설교통부와 같은 주요 사업 지지자들은 그 매립사업을 “환경친화적”이라고 계속 주장해왔다. 농림부의 경우는 2003년에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알리기를, 추방되는 도요 물떼새들은 인접한 금강하구와 곰소만과 기타: 갯벌로 갈 것이며 실지로 매립지는 새들에게는 좋을 수 도 있다! 라며 치명적 공사를 옹호하기 위한 (이러한 주장에 대한 새와 생명의 터의 반증은MAFrebuttal 에서) 글을 올리기까지 했다는 것이다. 이는 이 전에 제기한 적이 있었던 금강하구를 매립할 계획이 있기 전이다.

이에 대응하고자, 새와 생명의 터는Birds Australia (국제 기구인Birdlife International의 호주 파트너). 의 전문가 그룹인호주 뉴우질랜드 도요새 연구단 (AWSG)과 제휴하여 새만금 도요 물떼새 모니터링 프로그램 (SSMP)을 착수하였다.

SSMP는 현장조사 (도요 물떼새의 계수작업, 서식지 변화 평가, 철새 북향 이동 기간 중 저서생물 조사), 자료 수집과 보급, 정책 창도를 수반하는 3개년 조사 프로그램(2006년-2008년)이다.

 


 

배경 설명

1991년에 시작되어 황해로부터 양쪽 하구를 끊는 33킬로미터 길이의 방조제는 2006년 4월 21일에 완공되었고 2008년 시작하기로 계획되어있는 추가 제방의 축조가 완성되기까지는 다시 10년이 걸릴 수도 있다.

새만금 “매립”사업은 세계에서 연안 매립 단일공사로는 최대인 것으로 알려지며, 엄청난 쟁점이 남아있다. 국내에서 환경관련의 최대의 항의를 일으키며, 대한민국 개발 사업으로 세계적으로도 지속적으로 반대를 하고 있는 초대형 매립 사업이다.

외벽 방조제의 건설은 수질오염을 줄이는 방법 고려와, “매립”의 적법성 논쟁을 위한 국내 재판 등의 항의로 수 차례 공사가 정지된 바 있다.

방조제가 닫힌 지 겨우 4일이 지난, 2006년 4월 25일에 이르자, 막힌 지역내의 조개층은 죽어가기 시작했다. 5월 말에는 대부분이 죽고 수질은 이미 급속히 악화되었다. 수질은 급격히 악화되고 있으며, 새만금의 광활한 갯벌지는 말라버렸거나 영구적으로 침수되어 2007년에 그 90%가 상실되었다고 추측한다. 지역적, 국가적 수산업 중심지였으며 25,000명으로 추정되는 지역 어민들의 생계를 지켜주던 곳이었다.

세계적으로, 새만금의 생태계는 황해에서 이동 도요 물떼새의 기착지로서 가장 중요한 단일 지역이며, 동 아시아-오스트렐레이시안 철새 이동경로의 핵심지이다. 최소 18종의 도요새와 9종의 물새가 국제적인 주요 군집을 이루며 서식하는 곳이었다.

  • 주요종은 멸종위기종인 넓적부리도요(최대개체수 200이상 발견)와 멸종위기종인 청다리도요사촌 (60개체 이상 발견)과 붉은어깨도요(지구상 개체수의 30%에 해당되는125,000 이상)이다.
  • 추정컨대, 도요 물떼새 300,000개체 이상이 매년 새만금 하구계에서 서식한다.

새와 생명의 터와 전문가 그룹인 호주 뉴우질랜드 도요새 연구단은 2006년 봄 새만금 도요 물떼새 모니터링 프로그램(SSMP)를 착수하여 이 매립으로 인한 영향을 감시하고 공표하고자 한다.

완성된 보고서는 온라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보고서를 위한 조사 임시 자료는SSMP 임시 자료 로)

 


 

SSMP 보고서


2006-2008
SSMP 보고서


온라인으로 읽으십시오
PDF 다운로드
 

2007 SSMP
보고서


온라인으로 읽으십시오
PDF 다운로드
 

2006 SSMP
보고서


온라인으로 읽으십시오
PDF 다운로드
 

 


 

Wetland/Shorebird Conservation Organis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