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 기사 2013년 8월
금강하구 풍력단지 조성 계획에 대해
새와생명의터, 2013년 8월 18일

대형 풍력터빈 7기를 설치할 금강하구 (1) 외곽 해상 풍력단지 조성 계획에 대해 새와생명의터는 다음과 같은 우려의 성명서를 전한다. 지속가능한 발전에 헌신하는 보전단체로서 우리는 에너지 보전과 대체에너지원(풍력과 태양광 발전을 포함하는) 개발을 매우 지지하는 바이다. 하지만 우리의 지지는 생태적 영향, 특히 조류와 그 서식지에 끼치는 충격이 낮아야 하며 인류 공동체가 그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경우에 한해서이다.

현 계획안의 경우:

  1. 금강하구는 지금 국내에 남아있는 가장 중요한 도요•물떼새 구역으로 지구상 위협 물새종 (2,3,4,5)이 서식하는 곳이다.

  2. 학술지의 논평이나 선두적인 도요•물떼새 전문가들과의 통신을 통해 열악한 위치에 설치된 풍력터빈으로 인한 충돌로 새들은 죽을 수 있으며 교란을 가중시킴 (6,7,8,9)을 확인할 수 있다. 풍력터빈이 도요•물떼새에게 끼치는 영향에 관한 공표된 증거자료는 거의 없다 하더라도, 몇 국가 정부는 이미 중요한 도요•물떼새 구역 (6,7) 근처나 하구역 내에 풍력단지 건설을 금지하거나 반대하는 법을 규정해 놓았다.

현존하는 보전 가디언스와 의무, 이를테면 국내법을 비롯하여 람사르조약 (10)의 결의안 X1.10 (11); 생물다양성협약의 아이치 생물다양성목표(12); UN의 사전예방원칙(13) 등에 비추어 새와생명의터는 금강 하구역 내 또는 인근의 풍력터빈 설치에 대해 기필코 반대하며 강경하게 충고하는 바이다. 우리는 또한 다수의 철새가 이용하는 이동 경로상의 병목지나 국제적 중요성을 지닌 습지에서의 풍력터빈 설치에도 반대하며 다음과 같이 충고하고자 한다.

금강하구의 국가적•국제적 중요성

금강하구의 경우, 새와생명의터 회원들은 1998년 이후부터 (14) 가장 최근인 2013년 8월 중순에 이르기까지 해당지역의 도요•물떼새 및 타 조류종의 조사를 시행해왔다. 계수작업의 데이터는 학술지와 보고서를 통해 발표되었으며 특히 2006, 2007, 2008년에는 호주•뉴질랜드 도요•물떼새연구단(예. 15, 16, 2, 3, 5)과 공동작업으로 하구역에서 집중적인 현장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이 곳은 다른 나라의 정부 또는 비정부기관의 연구자들이 적어도 1990년대 말 이후부터 조사를 해온 곳이다 (17, 18, 19, 4, 20).

새만금이 방조제로 차단된2006년 이후, 우리의 계수 데이터는 금강하구가 국내에 남아있는 가장 중요한 도요•물떼새 구역임을 확인하였다. 연이은 새와생명의터 조사를 통해 금강하구에서는 2007년 4~5월에 걸친 북향이동시기에 100,000개체를, 8~10월에 걸친 남향이동 중에는 약 46,000 개체의 도요•물떼새를 관찰할 수 있었다(2). 이 도요•물떼새 대다수는 유부도에서 혹은 인근에서 관찰되었다.

통틀어 2006~2008년사이와 2009~2003년 사이에 시행한 조사로 우리는 람사르협약에 명시된 국제적으로 중요한 1%이상의 개체군 군집을 보이는 유부도 인근 갯벌에서는 지구상 준위협종 물새와 8종의 위협종이 서식함을 기록하였다. 여기에는 멸종 위급종인 넓적부리도요1종과,저어새와 청다리도요사촌인 두 종의 멸종위기종 및 4종의 취약종이 포함된다. 추가적으로 12종의 도요•물떼새가 금강하구 외곽에 정기적으로 출현하기도 하는데 개체군 10%~50%에 해당하는 검은머리물떼새의 아종으로 독특한osculans도 여기에 속한다(21).

그러므로 본 단체의 자체 데이터와 타 연구자들(환경부 소속의 조사원을 포함)이 발표한 데이터를 통해 금강 하구역, 특히 유부도 주변의 갯벌은 국내와 국제적으로 그 중요성이 탁월함을 확실히 알 수 있었다. 보전 지정 및 공적 조치를 통해 이러한 중요성은 인정되어왔으며 세계 주요조류지역 (22) 에 등재된 사실과 2009년에 유부도 주변 일부가 람사르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것(23) 등이 그러한 예이다.

금강하구 내 풍력터빈으로 인해 새들이 받을 위협

새들이 받을 가장 큰 위협은 공사 과정에 야기될 교란; 시설 유지와 관리 중에 발생될 교란; 터빈과의 충돌; 관련 시설물 (전선, 광선과 부대 시설)과의 충돌(6, 7). 이다. 게다가 금강하구의 조수흐름에도 변화가 있을 것이고 경관의 독특성이 감소됨에 따라 생태관광의 가능성 줄어듦과 동시에 도요•물떼새와 물새류 보전에 관련된 투자 감소까지 이어질 수 있다.

유럽의 전문가 논평에 따르면 풍력터빈으로 인해 받는 위험성은 “상당수의 새들이 섭식이나 휴식•수면을 위해 이용하는 장소를 너머 규칙적으로 오고 가는 주변 구역이나 국가 내의 이동경로 또는 전 철새이동경로까지로 훨씬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이 논평은 “월동을 위해서나 이동성 물새류나 도요•물떼새가 높은 군집을 보이며 서식하는… 충돌로 인한 폐사 가능성이 확연히 있거나 교란을 영향권 내의 주요 서식지를 개발업자들은 피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7).

금강하구는 높은 군집도를 보이며 월동하고 이동하는 물새류의 생존을 쥐고 있다. 하구역인 유부도 인근의 갯벌은 엄청난 수의 도요•물떼새가 섭식지나 수면 장소로 이용하고 있다. 매 24시간 일어나는 두 차례의 만조시엔 그 엄청난 간만의 차와 하구 생태계의 복합성으로 인해 그들의 이동 모습은 엄청나다. 적어도 2011년까지는 만조가 극에 달하면, 금강하구로부터 금강을 가로 지르며 군산항 상공 위까지 이르는 새만금 내의 휴식•수면장소를 위해 날아가는 어마어마한 수의 도요•물떼새를 볼 수 있었다(2, 5). 2011, 2012년과 2013년에는 많은 수의 도요•물떼새가 휴식•수면을 취하고자 방조제를 이용하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그 곳은 유부도로부터 서쪽에 위치한 곳(계획된 새 풍력지구의 위치일 가능성이 있음)이다.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도요•물떼새의 휴식•수면지를 오가는 이동은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밤낮이 따로 없다(24).

이로써 금강하구역에 서식하는 도요•물떼새의 복합성과 출현 빈도수는 많은 수의 새들이 열악한 위치에 설치된 풍력터빈과 관련 부대시설과의 충돌로 상당한 위험에 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새와생명의터 회원들은 금강하구에서 해상 방향 구역에서 기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군산항의 서쪽과 북서쪽 3km와 10km 사이 구역에서 높은 종 다양성을 기록하였는데, 해상조류와 이동성 물새류 및 육상조류가 모두 포함된다. 이 곳과 국내 다른 지역에서 많은 이동성 육상조류는 해안선을 따라서 혹은 해안에 근접하거나 때로는 좁은 병목지 (5)를 통해 이동하는데 열악한 위치의 풍력터빈으로 인해 이들까지도 상당한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짙다.

밀집도가 높은 조류 서식지를 멀리 벗어난 곳에 풍력터빈을 설치한다면 충돌과 교란으로 인한 위험 가능성은 매우 낮아질 것이다.

권고

최선의 정보에 근거하여 우리는 다음과 같이 권고한다:

  1. 금강하구역(또는 국내와 국제적으로 조류 중요성을 보이는 다른 어떤 서식지 및 인근지역) 에서 풍력지구 개발이 추가 승인되어서는 안 된다.

  2. 유부도와 같이 특히 생태적으로 민감한 지역은 전력수급을 위한 태양열 등의 대체 에너지원을 개발해야 한다.

  3. 새나 박쥐를 포함한 야생 동물이 금강하구와 전국에 설치된 풍력터빈으로 인해 받는 잠정적•실제적 영향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시행되어야 한다.

  4.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공개되어 쉽게 사용될 수 있어야 하고 해당 지역의 이해당사자, 정책 입안자와 에너지 사업체에 제공되어야 한다.

  5. 풍력지구 선정은 생태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구역이어야 하며, 앞으로의 풍력에너지 개발은 기존의 보전 의무에 적절히 부합할 수 있어야 한다.

References

  1. http://jeollailbo.com/news/general_view.php?code4=PO0100001&An=394579
    (2013년 2월 22일 전라일보)
  2. Moores N., Rogers D., Koh C-H, Ju Y-K, Kim R-H & Park M-N. 2007. The 2007 Saemangeum Shorebird Monitoring Report. Birds Korea publication, Busan. At: /Habitats/Wetlands/Saemangeum/Downloads/Birds-Korea-SSMP-Report-2007.pdf
  3. Moores, N., Rogers, D., Kim R-H, Hassel, C., Gosbell, K., Kim S-A & Park M-N. 2008. The 2006-2008 Saemangeum Shorebird Monitoring Program Report. Birds Korea publication. At: /Habitats/Wetlands/Saemangeum/Downloads/Birds-Korea-SSMP-Report-2006-2008.pdf
  4. Lee H-S., Yi J-Y., Kim H-C, Lee S-W. & Paek W-K. 2002. Yubu Island, the Important Waterbird Habitat on the West Coast of Korea and Its Conservation.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24(1): 115-121
  5. .Moores, N. 2012. The Distribution, Abundance and Conservation of the Avian Biodiversity of Yellow Sea habitats in the Republic of Korea. Doctoral thesis, University of Newcastle, Australia.
  6. Langston, R. & J. Pullan. 2004. Effects of wind farms on birds. Nature and environment 139. Produced by the RSPB and BirdLife International. Council of Europe Publishing.
  7. Drewitt, A. & R. Langston. 2006. Assessing the impacts of wind farms on birds. Ibis (2006), 148, 29-42.
  8. Kuvlesky Jr., W., Brennan, L., Morrison, M., Boydston, K. Ballard, B. & F. Bryant. 2007. Wind Energy Development and Wildlife Conservation: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he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Vol. 71, No. 8 (Nov., 2007), pp. 2487-2498. Published by: Wiley on behalf of the Wildlife Society. At: http://www.jstor.org/stable/4496368
  9. Smallwood, K. & C. Thelander. 2008. Bird Mortality in the Altamont Pass Wind Resource Area. The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Vol. 72, No. 1 (Jan., 2008), pp. 215-223 Published by: Wiley on behalf of the Wildlife Society. At: http://www.jstor.org/stable/25097521
  10. Ramsar Convention, at: http://www.ramsar.org/cda/en/ramsar-home/main/ramsar/1_4000_0__
  11. Ramsar Resolution XI.10, “Wetlands and Energy Issues” at: http://www.ramsar.org/pdf/cop11/res/cop11-res10-e.pdf
  12. Aichi Biodiversity Targets within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t: http://www.cbd.int/sp/targets/
  13. The Precautionary Principle, at: http://www.unglobalcompact.org/AboutTheGC/TheTenPrinciples/principle7.htm
  14. Moores, N. 1999. A Survey of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Shorebirds in South Korea during 1998-1999: Interim Summary. Stilt 34: 18-29. At: http://www.awsg.org.au/stilt/Stilt-34.pdf
  15. Rogers, D., Moores, N. & P. Battley. 2006. Northwards Migration of Shorebirds through Saemangeum, the Geum Estuary and Gomso Bay, South Korea in 2006. Stilt 50: 73-89. Published by the Australasian Wader Studies Group. At: http://www.awsg.org.au/stilt/Stilt-50.pdf
  16. Moores, N., Battley, P., Rogers, D., Park M-N., Sung H-C., van de Kam, J. & K. Gosbell. 2006. Birds Korea-AWSG Saemangeum Shorebird Monitoring Program Report, 2006. Birds Korea publication, Busan. At: /Habitats/Wetlands/Saemangeum/Downloads/Birds-Korea-SSMP-Report-2006.pdf
  17. Kim J-H., Park J-Y. & Yi J-Y. 1997. Spring and autumn avifauna of western coastal mudflat in Korea. Journal of Korea biota 2: 183-295.
  18. Yi J-Y. 2003. Critical Habitat in the Yellow Sea from a Korean perspective. Powerpoint Presentation on behalf of the Wildlife Division, Biodiversity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3). Abstract only in Straw, P. 2004. Status and Conservation of Shorebirds in the 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Proceedings of the Australasian Shorebirds Conference 13-15 December 2003, Canberra, Australia. Wetlands International Global Series 18, International Wader Studies 17. Sydney, Australia. Published by: Australasian Wader Studies Group and Wetlands International – Oceania.
  19. Yi J-Y. 2004. Status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Migratory Shorebirds in Korea. Pp.87–103. The Proceedings of the 2004 International Symposium on Migratory Birds, Gunsan, Korea. Published by the Ornithological Society of Korea.
  20. Korean Shorebird Network. 2011. 2010 Fall Census on Shorebirds of Korea. Published by Shinan County, with Forewords by the national Minister of Environment, national Minister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 representatives of the Common Wadden Sea Secretariat.
  21.  Melville, D., Gerisamov Y., Moores N. & Yu Y-T. (2013/ in press). Conservation assessment of Far Eastern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 (2013).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Wader Studies Group.
  22. BirdLife IBA’s at: http://www.birdlife.org/datazone/sitesearchresults.php?cty=113&fam=0&gen=0
  23.  Seocheon Tidal-flat Ramsar Sheet: http://sites.wetlands.org/reports/ris/2KR013_RIS_FINAL_2010.pdf
  24.  Van Gils, J. & T. Piersma. 1999. Day- and night-time movements of radio-marked Red Knots staging in the western Wadden Sea in July-August 1995. Wader Study Group Bulletin 89: 3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