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 2009년 8월
2007년까지의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은 Oriental Bird Club (Inskipp et al., 2001)을 따랐다. 이 후에는 몇 종 외에는 Gill 과Wright에 의해 집계된(2006) IOC 조류목록의 명명법과 분류법이 적용되었다. 새와 생명의 터가 지원하고자 하는 IOC 조류목록은 영명과 분류법 (참고: http://www.worldbirdnames.org)에 대한 적절한 국제적 합의를 정립하고자 국제조류학위원회 (the International Ornithological Congress) 가 보강시켜왔다. IOC 조류목록은 광범위한 분야의 숙련된 전문가들로부터 제공된 정보와 목록 이용자들의 논평에 따라 연 1 차례 이상 개정해오고 있다. 본 목록 작업은 IOC의 2009년 최신 5월 개정판 (Gill et al., 2009) 에 따른다.
2009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은 2개 국어로 (한국어와 영어판) Gill et al. (2009) 와 새와 생명의 터 (2007)에 근거한다. 최초로 모든 종과 아종의 녹음을 담아 2009년 7월까지의 한반도 (본토, 도서•해양지역과 대한민국과 북한까지) 전체 기록을 담았다. 차기 개정판 조류목록은 2010년 중반기에 게시될 것이다.
가장 최근에 변경된 종명과 Gill et al. (2009)에 제시된 분류법에 따라 2009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은 최근 발견되고 박물관의 연구와 문헌평론에 근거하여 확인된 종을 포함; 과(科)명과 목(目)명; 천연기념물지정 번호; 개정•단순화한 현황 (대한민국 내로 국한함)부호; 아종; 번식현황을 표기했다. 한국의 조류에 관한 지식은 향상되고 있더라도 정보상의 결함은 상당히 남아 있다. 대다수의 아종에 대한 서술과 정보는 열악하며 대부분의 종에 있어서 개체 수를 파악 하기에 적합한 광범위한 감시프로그램도 없는 실정이다. 몇 과명과 종명은 채택된 국명이 아직 없기도 하다.
우리는 조류목록을 발전시킬 부연 설명이나 교정을 늘 반기는 바이다.
2009년 8월 새와 생명의 터
알림: 모든 온라인 상의 자료와 새와 생명의 터 발행물은 그 당시에 이용한 조류목록에 기초합니다. 진솔한 정보교환을 통하여 소장 자료를 향상시키고자 자료를 공개하며 약식의 2007년판 조류목록도 아래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birdskorea.or.kr/Birds/Checklist/BK-CL-Checklist-info-2007.shtml
참고문헌
- Birds Korea. 2007.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 (2007년 10월).
http://www.birdskorea.or.kr/Birds/Checklist/BK-CL-Checklist-info-2007.shtml - Gill, F. & Wright, M. 2006.Birds of the World: Recommended English Nam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 Gill, F., Wright, M. & Donsker, D. 2009. IOC World Bird Names (version 2.1). Available at: http://www.worldbirdnames.org/ [Accessed Jun-Jul 2009].
- Inskipp, T., Lindsey, N. and Duckworth, W. 1996. An annotated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Oriental Region. Sandy, U.K.: Oriental Bird Club. (in English)
온라인으로: 2009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
다운로드 PDF: 2009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
2009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 보기
약호
1군 (최근 기록)
1980년 이후 적합한 사진, 녹음 또는 표본으로 한국에서 발견•기록된 종과 아종.
2군 (1980년 이전 기록)
1980년 대 이전에 증빙자료가 제시된 기록, 이 후에는 당시에 제출된 사진과 표본을 능가하는 증거자료가 없었던 종과 아종.
3군 (증빙자료 미비함)
사진이나 녹음자료가 없으며, 다수의 관찰자 (그 종에 숙련된 단독 관찰자가 일행일 경우)또는 그 종에 숙련된 단독 관찰자가 2차례 이상 관찰한 경우의 종과 아종.
4군 (증빙자료 미비함)
사진이나 녹음자료가 없이, 경험이 적은 단독 관찰자 또는 2인 이상의 관찰자에 의해 발견되었거나 이 전에 관찰 경험이 있었던 관찰자의 소식에 근거.
5군 (확정된 외래종)
한 때 도입되어 이제는 널리 퍼진 것으로 보이며 한국에서 기록된 종.
영명
IOC 조류목록에 근거한 각 영명에 대한 부연 설명:
괄호 속의 IOC 영명 뒤, 새와 생명의 터가 선호하는 영명을 표기. 예) (Japanese Woodpigeon) Black Woodpigeon.
IOC 영명 뒤, 새와 생명의 터가 제안하는 영명을 뒤에 표기함. 예) Great Tit, Northern Great Tit.
IOC가 아닌 새와 생명의 터가 추가로 인정하는 종은 * 로 표기. 예) Mongolian Gull Larus mongolicus.
국명
한국에서의 첫 발견자는 국명을 부여할 책임이 있다. 국명 미정인 경우는 공란으로 두었다. 2가지 국명을 나열한 경우는 첫 발견자가 부여한 국명, 뒤에 새와 생명의 터 선호하는 국명의 순서임. 예) 귤색딱새 / 회색머리갈색딱새
CAT 항목은 종명과 달리 아종이 다른 범주(군)에 속해진 경우와 같은 예외를 알린다
지구보전 현황 (GCS)
IUCN과 조류보호연합 자료에 근거
CR | = | 극심한 멸종위기종 |
EN | = | 멸종위기종 |
VU | = | 취약종 |
NT | = | 멸종우려근접종 |
천연기념물 (NNM)
지정번호는 대한민국 국가천연기념물목록을 참조함: http://www.cha.go.kr
아종과 현황
데이터가 불충분한 경우 “DD”를 사용.
국내 (대한민국 내) 현황 (ROK-Stat)
R | = | 널리 서식 |
P | = | 널리 통과하는 철새 |
S | = | 주로 여름 철새 |
W | = | 주로 겨울 철새 |
위 네가지 약호는 추정분포도를 표시하는 숫자와 병행함
1 | = | 연간 개체 수 100,000 이상 |
2 | = | 연간 개체 수10,000 ~100,000 사이 |
3 | = | 연간 개체 수1,000 ~10,000 사이 |
4 | = | 연간 개체 수100 ~1,000 사이 |
5 | = | 연간 개체 수10~100 사이 |
V1 | = | 드물게 기록됨, 예. 총 관찰 수는10회가 넘지만 연 관찰 수는 10회 미만 |
V2 | = | 거의 관찰되지 않음, 예. 총 관찰 수 10회 미만 |
V3 | = | 1980년 이후 발견 기록없음 |
조합된 약호는 연중 계절에 따른 다른 분포도를 표시하기 위함.
예) P2, W3, SV2 = 이동 개체 수가 10,000~100,000사이; 겨울 발견 1,000 ~10,000 개체; 여름 발견 횟수 10차례 미만인 종.
번식 (Bre)
총 6가지 약호
1 | = | 국내 번식 기록이 확인됨 |
2 | = | 국내 번식이 추정됨 |
3 | = | 과거 국내 번식 기록이 있음 (1980년대 이후 추가 기록 없음) |
NN1 | = | 국내 번식 기록은 없으나 DPRK에서의 번식 확인 또는 추정 |
NN2 | = | 국내 번식 기록은 없으며 DPRK에서의 번식이 짐작됨 (짐작: 서식지에서 여름철에 발견된 것) |
빈칸 | = | 최근 한반도 내 번식 기록이 없는 것으로 짐작됨 |
출처와 참고문헌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의 집계 자료의 참고문헌은 아래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birdskorea.org/Birds/Checklist/Downloads/BK-Checklist-Intro-Oct-2007.pdf
DPRK내에서의 번식 기록은 「Duckworth J. & N.Moores. 2008. A re-evaluation of the pre-1948 Korean breeding avifauna: correcting a ‘founder effect’ in perceptions. Forktail 24 (2008): 25-47」을 참고로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