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
4월 2014년

BN Checklist 2014 Logo안내
온라인으로
PDF 다운로드

이전 버전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
6월 2013년

BN Checklist 2013 Logo안내
온라인으로
PDF 다운로드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
5월 2013년

BN Checklist 2013 Logo안내
온라인으로
PDF 다운로드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
8월 2009년

BN Checklist 2009 Logo안내
온라인으로
PDF 다운로드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
10월 2007년

BN Checklist 2007 Logo안내
온라인으로
PDF 다운로드

새와생명의터 2013 대한민국 조류목록
나일 무어스 & 안드레아스 김, 2013년 5월

새와생명의터 2013조류목록 (2013년 5월 게시) 전문은 국∙영문으로 게시되며 Gill & Donsker 의 3.3버전 (2013년 1월)과 Moores & Park (2009)를 그 기초로 한다. 대한민국에서 최근 2013년 4월까지 기록된 조류로 새와 생명의 터가 신중히 검토한 조류종과 아종까지 포함한다. 본 목록만큼의 완성도에는 미치지 않지만 DPRK용 목록을 별도로 준비 중에 있다.

새와생명의터 2013조류목록은 Dr. 나일 무어스가 발전시킨 버전으로 국내의 선두적인 조류학자인 박종길님께서 부연적인 코멘트를 해주셨다.

본 목록을 이용할 시, 자료 접속 일자와 함께 다음의 인용구를 명시하길 바란다.
Moores, N. & A. Kim. 새와생명의터 2013대한민국 조류목록

늘 그렇듯이, 조류목록 향상을 위한 여러분의 언급이나 교정을 반기는 바이다.

2013년 5월 새와 생명의 터

참고문헌


새와 생명의 터 2013조류목록 보기

목록의 약호

1군 (최근 기록)
1980년 이후 적합한 사진, 녹음 또는 표본으로 한국에서 발견•기록된 종과 아종.

2군 (1980년 이전 기록)
1980년 대 이전에 증빙자료가 제시된 기록, 이 후에는 당시에 제출된 사진과 표본을 능가하는 증거자료가 없었던 종과 아종.

3군 (증빙자료 미비함)
사진이나 녹음자료가 없으며, 다수의 관찰자 (그 종에 숙련된 단독 관찰자가 일행일 경우)또는 그 종에 숙련된 단독 관찰자가 2차례 이상 관찰한 경우의 종과 아종.

4군 (증빙자료 미비함)
사진이나 녹음자료가 없이, 경험이 적은 단독 관찰자 또는 2인 이상의 관찰자에 의해 발견되었거나 이 전에 관찰 경험이 있었던 관찰자의 소식에 근거.

5군 (확정된 외래종)
한 때 도입되어 이제는 널리 퍼진 것으로 보이며 한국에서 기록된 종.

6군 (보류 기록)
능숙한 관찰자들이 발견하였으나 증빙할 사진이나 녹음이 미비한 경우임. 국내 목록 포함 여부가 미결인 상태이며 현재로서는 보다 독립적인 평가가 필요한 경우.

영명

아래의 예외나 부연 설명과 함께 Gill & Donster (2013)의 분류군을 택함:

  1. 새와 생명의 터가 “선호하는 영명” 에는 PA를 표기. 예) Gill & Donsker의 Japanese Woodpigeon은 새와 생명의 터가 선호하는 Black Woodpigeon를 표기함.

  2. 이전에 사용되었으나 새와 생명의 터 자료 중 더 이상 쓰지 않는 자료는 NA(미적용)으로 표기하고 괄호로 대신함. 예. (Kamchatka Gull).

  3. IOC의 공인된 분류군이 아니며 새와 생명의 터가 추가로 인정하는 종은 ● 로 표기함 ●예. Mongolian Gull Larus mongolicus, the Greater White-fronted Goose 의 아종인frontalis.

국명

대한민국에서의 첫 관찰자는 국명을 부여하고 그 국명을 공표할 책임이 있다. 국명이 미정인 경우는 조류목록에서 공란으로 두었음. 2가지 국명을 나열한 경우는 첫 발견자가 부여한 국명, 뒤에 새와 생명의 터가 선호하는 국명의 순서임.

지구보전 현황

약호는 세계자연보전연맹 (2013)과 국제조류보호연합 (2013) 기준에 근거함.

CR=위급종
EN=멸종위기종
VU=취약종
NT=준위협종
LC=관심대상종
NR=미공인: 국제조류연합의 Fact Sheet(2013)나 Gill & Donsker (2013)에서 공인되지 않은 분류군임.

현황 약호

정보가 부족한 경우 “DD”로 표기함.

국내 (대한민국 내) 현황

R=널리 서식
P=널리 통과하는 철새
S=주로 여름 철새
W=주로 겨울 철새

위 네가지 약호는 추정분포도를 표시하는 숫자와 병행함

1=연간 개체 수 100,000 이상
2=연간 개체 수10,000 - 99,999 사이
3=연간 개체 수1,000 - 9,999 사이
4=연간 개체 수100 - 999 사이
5 =연간 개체 수10 - 99 사이
V1=드물게 기록됨, 예. 총 관찰 수는10회가 넘지만 연 관찰 수는 10회 미만
V2=거의 관찰되지 않음, 예. 총 관찰 수 10회 미만

조합된 약호는 연중 계절에 따른 다른 분포도를 표시하기 위함.
예) P2, W3, SV2 = 이동 개체 수가 10,000 - 99,999사이; 겨울 발견 1,000 - 9,999 개체; 여름 발견 횟수 10차례 미만인 종.

번식

0=번식하지 않음
1=국내 번식 기록이 확인됨
2=국내 번식이 추정됨
3=과거 국내 번식 기록이 있음 (1980년대 이후 추가 기록 없음)